Some things are better together: Pall Life Sciences는 이제 Cytiva입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협력

바이오의약품 업계와 정부가 향후에도 미래 신약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위해서 협력을 지속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의 CEO인 Martin Meeson은 팬데믹 시기를 회상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우리 모두가 힘든 상황을 마주했지만, 대응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매우 긍정적인 업무 추진 방식이 드러났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업계와 정부는 이제 그것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에 대한 어느정도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다른 부문의 인사들도 이러한 변화가 의료 분야의 지속적인 변화 가능성을 예고한다는 데 동의하고 있습니다. 설문 조사 참여자 중 대다수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정부가 바이오의약품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더욱 많은 일을 추진하게 하는 전환점이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응답자 과반이 향후 2년에 걸쳐 바이오의약품 업계 경영진과 정부 부처 간의 의사소통과 협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업 전략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하나, 정부와 기업의 더욱 긴밀한 관계를 통해서 기업이 더 나은 환자 결과를 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이와 비슷한 수를 기록했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앞서 언급한 의견들이 힘을 얻고 있지만 모두가 공감하는 것은 아닙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정부 개입으로 인한 이익은 바이오의약품 산업 및 사회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배되지 않고 몇몇 기업과 집단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협력적 파트너십 관계는 더욱 깊게 뿌리 내리지 않으면 시들게 될 수 있습니다. 제네릭 및 바이오 시밀러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단체인 Medicines for Europe의 국장 Adrian van den Hoven은 두 차례의 ‘갑작스럽고 긴밀한 협력의 정점(peaks of sudden, close collaboration)’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첫 번째는 팬데믹이 본격화되던 시기의 협력, 그리고 두 번째는 백신 출시 가속화에 따른 협력을 말합니다. 그는 이러한 기간 동안 이루어진 협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협력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엄청난 규모의 공중 보건 위기였고 정부조차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몰랐으니까요. 이러한 위기 상황은 이제 지나갔습니다. 당시 이루어진 협력이 유익하고 건설적이긴 했으나, 각국의 정부에서 이를 지속하는 것을 득이 된다고 볼지는 불확실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미 탄탄한 관계가 구축된 분야는 팬데믹으로 관계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중동에서 일하고 있는 한 제약회사의 고위 관계자는 페르시아만 연안 국가들을 예로 들며, 이러한 국가에서 이루어지는 강력한 협력은 업계와 정부 간에 장기간 이루어진 생산적이면서도 상호 이익이 되는 논의를 기반으로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2020년 4월, 대한민국 정부는 백신 연구, 개발 및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Vaccine Innovative Technology Alliance, VITAL)의 설립과 관련해 2억 5천만 달러의 예산을 책정했습니다. 코로나19 또한 설립 요인 중 하나에 해당하지만, 이 7개년 계획은 2010년부터 시작된 공동의 여정이 지금에 이르러 만들어낸 성과입니다. 한국은 2025년까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백신 생산국이 되는 것, 그리고 80%의 백신을 자급하는 것을 목표로 K Vaccine 프로그램에 2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했습니다.

요컨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이미 협력 중인 정부와 바이오의약품 업계가 속한 국가 및 지역의 상호작용 수준이 향상될 것이며,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의 경우에는 협업에 대한 더 많은 장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부는 협력 관계를 맺는 기업의 생태계를 확장해야 합니다. 그리고 향후 팬데믹의 재발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기업들과 협력하여 환자 치료를 위한 강력하고 장기적인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협력의 한계 – 국내 공급과 관련된 난제

여러 국가의 정부가 업계와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관심을 두고 있는 영역 중 하나는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소위 보건 민족주의라 일컫는 최근의 추세로 인해 이러한 위험이 더욱 악화하였습니다.

확실한 대응 방법 중 하나는 국내 제조 가능 역량을 늘리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설문 조사에 참여한 경영진 대다수는 향후 2년 동안 바이오의약품 제조에 대한 정부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절반이 넘는 수의 사람들이 같은 기간 동안 정부가 제조 주권 확보 또는 공급망의 온쇼어링(*생산시설의 자국화)에 투자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마찬가지로 인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 발의안의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의 비율이 56%에 달합니다.

경영진 대다수는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van den Hoven은 인재 풀을 두텁게 형성하는 것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하며 다음과 같이 덧붙였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사업장에서 청소 업무를 맡은 사람조차도 5년간의 교육 기간이 있어야 합니다. 불순물이 주변에 떠다니지 않게 하는 방법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발전하고 있는 보건 생태계를 위한 광범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경고합니다. 제일 먼저 필요한 것은 적절한 보상입니다. 바이오의약품 업계 경영진의 41%가 온쇼어링으로 인한 인건비 및 원자재 비용의 증가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van den Hoven이 지적했듯이, 제조업을 장려하기 위해서 정부는 보호주의 조치가 아닌 시장 기반 인센티브를 시행해야 합니다. 바이오의약품 제조 시설은 비용이 많이 드는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며, 예를 들어 EU의 경우 규제 당국이 운영을 승인하는 데 수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van den Hoven은 이에 대해 “기업이 이런 유형의 제조업에 대해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해서 투자할 수 있는 시장이 있어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건 당국이 의약품 가격을 인하하는 방향을 추구하는 것은 ‘공급 안정성 면에서 비생산적인 조치’라고 van den Hoven은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국제 백신 연구소 사무총장 제롬 김 박사가 “일부 국가의 국내 시장은 제조업에 관한 이니셔티브가 성공하기에는 그 규모가 너무 작습니다.”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업계 경영진의 약 절반은 정부의 개입이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금융 분야를 비롯한 다른 여러 분야 또한 중요합니다. 기타 중요 분야로는 조세, 지적 재산 및 규제 환경, 중장기 정책 안정성 등이 있습니다. 구매자와 생산자 모두 최저 비용을 추구하므로, 정부는 국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일관된 정책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다음 아티클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사고방식을 통해 국내 공급에 더욱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영역인 규제 문제 영역과 지적 재산 영역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021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 회복탄력성 지수 보고서 전문을 지금 다운로드 받으세요.

다운로드
magnifiercrosschevron-downchevron-leftchevron-right <